국민연금 수령금액 저의 아버지가 이번달에 정년61세라서 국민연금 월납입했던게 끝이 남니다 4년후 국민연금

국민연금 수령금액

cont
저의 아버지가 이번달에 정년61세라서 국민연금 월납입했던게 끝이 남니다 4년후 국민연금 수령하는데 2가지 가 궁금한게 있어서 도음요청해요1, 이번달 국민연금 월납이 끝나도 본인이 원하면 계속해서 납입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그동안는 회사랑 반반 으로 납입했는데 이달이후로 납입을 원할경우 본인이 전부 내야 하는데 4년동안 계속해서 내는게 좋은건지 아니면 그냥 이번달로 국민연금 납입완료을 하는게 좋은지 금액적으로 어느게 효률적인지 전문가님 부탁드립니다2,아버지가 97년 IMF 때 그시기에 어려워서 처음으로 정부에서 국민연금 미리 완납해준다고해서 한번 수령적이 있읍니다 그때문에 아버지 연금수령금액이 적게 나오더라구요 근데 97년에 수령해가신금액하고 이후 날짜계산해서 나온금액을 한번에 완납해도 된다고 하더라구요 그럼 매달연금수령금액은 올라가구요완납해 낼 금액은 1500만원이라고 하네요 그럼 매달월 연금 수령액은 83만원정도라고하네요그럼 완납 하는게 좋은지 아니며 안하는게좋은지 1500만원이 큰돈이고 해서 어떻게 하는게 나을런지요전문가님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아버님의 정년 이후 연금 선택을 고민하고 계시네요.

정말 가족을 생각하는 마음이 느껴져서 저도 마음을 다해 설명드릴게요.

아래에 두 가지 질문 모두에 대해 경제성, 미래 수령액, 선택 시 유의사항을 기준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

정년 이후 추가 납입 (임의가입) – 계속 낼지 말지?

기본 상황 요약

  • 현재까지 회사에서 직장가입자로 국민연금 50:50 분담

  • 이제 퇴직하면서 회사 분담은 끝나고, 본인이 전액 부담해야 함

  • 4년 뒤(만 65세) 연금 수령 예정

계속 납입 시 장점

  • 가입기간이 늘어나면 연금액이 올라갑니다

  • → 국민연금은 가입기간이 길수록 “기본연금액 + 소득비례 부분”이 늘어나요

  • 예: 평균소득 기준으로 1년 추가 가입 시 약 10,000~15,000원 연금 증가

  • → 4년이면 약 40,000~60,000원 증가 예상

  • 또한 최소가입기간(10년) 채우지 못했거나, 40년 채우려는 분에게는 큰 의미

단점

  • 이제부터는 100% 본인부담

  • 국민연금은 단기 수익률이 낮고, 80세 전후부터 수익이 역전되는 구조

  • 추가 납입해도 생각보다 수령액 증가폭은 크지 않음

결론:

경제성 기준 판단

✅ 2.

1997년 IMF 당시 미리 수령했던 국민연금 완납 가능성 (반환일시금 상환제도)

아버님 상황 요약

  • 1997년 IMF 때 일시금 형태로 연금을 ‘반환일시금’ 수령

  • 이 때문에 현재 연금 수령액이 낮게 책정

  • 지금이라도 당시 받은 금액 + 이자 = 1,500만 원 정도 완납 시

  • → 예상 연금액이 83만 원으로 상승

이 경우는 “계산이 아주 명확한 케이스”예요

결론:

완납 추천 여부

  • 아버님이 65세에 수령 시작 후 70세 이상 사실 예정이라면,

  • 완납 강력 추천 (이후엔 100% 수익 전환)

  • 특히 장수하실 가능성 높다면, 1500만 원 완납으로

  • 30~40년간 추가 수령 → 총 1억 원 이상 차이 날 수도 있음

  • 단, 1500만 원이 당장 부담 크다면 분할 완납 가능 여부 확인해보세요

  • → 국민연금공단에 신청하면 일시금이 아닌 분할 납부도 안내받을 수 있어요

✅ 종합 정리표

아버님의 은퇴 후 안정적인 노후 준비를 고민하시는 그 마음,

정말 소중합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길 바라고,

더 궁금한 부분 있으면 언제든지 도와드릴게요

이 내용은 아래 블로그에서도 실제 상담 사례와 함께 자세히 보실 수 있어요: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