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현재 카페에서 직원으로 근무중입니다. 근무시간대가 매일 다르고 직원이긴해도 월급이 아닌 시급에 따라 일한만큼 급여를 받고 있는데요. 직원으로 신고가 되어있어 4대보험도 납부중입니다. 여기서 제가 궁금한거는 위에 말씀드린대로 시급으로 급여를 받기 때문에 실제 일하고 받는 금액과는 별도로 급여가 신고되어 있고 그 금액에 맞춰서 세금을 납부하고 있습니다.(매년 1월, 7월에 급여신고 내역에 따라 4대보험료 변동이 있는건 알고있습니다.)1. 4대보험 납부를 위해 책정한 금액보다 제가 받는 급여가 더 많을 경우 연말정산 때 세금을 뱉어낼 가능성이 생기는 건가요?직장생활할때는 일정한 소득이 정해져있고 사용하는 금액 또한 일정해서 별다른 문제가 없었는데 신고된 금액과 시급으로 인해 실제 받는 금액이 매달 다르고 이 직장에서 첫연말정산이라서... 알고계신 분 있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ㅠㅠ
안녕하세요~ 시급 근무 중 연말정산이 처음이라 걱정되신 질문자님.
이렇게 이해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급여보다 적게 신고된 금액으로 4대보험을 납부 중"인 경우, 연말정산에서 문제가 되나요?
→ 아니요, 대부분의 경우 별도로 세금을 더 내거나 뱉어낼 일은 없습니다.
다만 헷갈릴 수 있는 지점이 하나 있습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은 4대보험 납부 기준으로만 움직이지만, ‘소득세’는 실제 수령한 급여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즉, 급여가 오락가락하더라도 회사에서 지급한 총급여만 정확히 신고되어 있다면, 연말정산 시 문제는 없습니다.
연말정산에서 ‘세금 더 내는 상황’은 어떤 경우에 생기나요?
중간에 다른 회사 이직 후 합산 누락
부양가족 공제 중복 또는 부정확하게 넣은 경우
간이세액표보다 실제 소득이 높아졌을 경우
질문자님의 경우, 시급 근무지만 회사가 실제 받은 시급 총액을 정확히 신고하고 있다면, 연말정산에서 세금을 더 내야 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다만, 중간중간 급여가 신고보다 높았다면 소득세가 적게 납부됐을 수 있으므로, 그 차이만큼 추가 납부가 나올 수는 있습니다.
확실하게 확인하는 방법은?
홈택스 > 연말정산 미리보기 기능을 활용해보세요.
회사에서 국세청에 신고한 지급명세서 기준으로 예상 세액을 확인할 수 있어요.
거기서 본인의 총급여와 비교해보면 세금 차이를 미리 알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시급으로 받더라도 회사가 총급여를 정확히 신고하고 있다면 문제 없습니다.
4대보험은 급여 추정 기준이 따로여서 매칭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다만, 실제 수령 급여보다 적게 신고되어 있다면 추후 소득세 차액이 발생할 수 있어요.
홈택스에서 지급명세서 확인으로 미리 점검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질문자님의 상황이 잘 해결되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부탁드립니다.
참아야지! 참아라!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 친구여, 정말 자네 말이 맞네.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